목록RCTOWN 이야기/프로 기획자 이야기 (19)
알씨타운

기획자는 어떤 능력이 필요할까? https://salaryblues.tistory.com/2 기획자가 하는 일과 필요한 역량 기획자란? 기획자라는 표현은 주로 한국과 일본에서 쓰이며, 영어권에서는 디자이너(Designer)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기획 Planning, Planung 어떤 대상에 대해 그 대상의 변화를 가져올 목적을 확인하고, 그 목.. salaryblues.tistory.com 기획자 기획자는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쓰이는 말이며, 영어권에서는 Designer로 쓰인다. 기획[ 企劃 , planning, Planung ] 어떤 대상에 대해 그 대상의 변화를 가져올 목적을 확인하고, 그 목적을 성취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행동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계획(plan)은 기획을 통..

포스트 1편에서는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글쓰기가 왜 중요한지, 글을 언제 써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ideavillage/222500653351 훌륭한 프로덕트 매니저를 만드는 '글쓰기 능력' 1편 훌륭한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많은 능력들이 있습니다. 그중 사람들이 간과하는 능력... blog.naver.com 이번 포스트 2편에서는 '무엇을 써야 하는지, 글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디 이번 포스트가 여러분들이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고, 글쓰기가 가진 힘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엇을 써야 하는가? 1. 제품 비전 문서 초안 훌륭한 PM은 주체적인 역할을 합니다...

훌륭한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많은 능력들이 있습니다. 그중 사람들이 간과하는 능력 중 하나가 바로 '의사소통'입니다. 훌륭한 의사소통 능력은 평범한 PM과 훌륭한 PM의 차이가 될 수도 있지만, 단순한 PM과 프로덕트 리더의 차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PM은 구두 의사소통으로 신뢰를 쌓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하지만 저는 오히려 서면 의사소통이 신뢰를 쌓는 것에 있어서 더욱 더 힘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쓰는 것은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훈련도 필요합니다.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한 메모, 팀의 효율성을 높이는 문서, 제품에 대한 조직적인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등 아주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문서들을 효과적으로 잘 작성한다면, 제품 관리에..
출처 : https://brunch.co.kr/@lulina724/26 구글 프로덕트 매니저가 알려주는 기획서 작성 꿀팁 제품 기획 문서(PRD) 작성 및 활용법 A to Z 정리 | 우리 PM들은 예로부터(?) 기획서라는 이름 하에 수많은 형태의 문서들을 작성해왔습니다. 기능 요구정의서, 명세서, UX 설계 문서 등등.. 이름도 다양하고 형태도 다양하죠. PPT나 디자인 툴로 와이어프레임을 직접 그리기도 하고 에러 케이스부터 시작해서 세부 개발 요구사항들까지 꼼꼼히 기록하기도 하고요. PM들이 과연 얼마나 상세하고 많은 분량의 기획을 brunch.co.kr PRD에는 무엇을 작성해야 하나요? 1. 요약과 배경 문제가 무엇이고 이것이 왜 중요한지 기술합니다 2. 주요사용자 누구를 위한 해결책인지, 유저의..
이런 기획자는 되고 싶지 않은 마음 우리는, 어떤 기획자가 되어야 할까? 출처 https://brunch.co.kr/@zagmaster/100 이런 기획자는, 되고 싶지 않음 마음 우리는, 어떤 기획자가 되어야 할까? | 감정 조절을 잘하는 사람이 되자 자기감정을 잘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기획자는 다양한 사람,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자연스레 여러 상황에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위치다. 의견에 감정이 상하거나, 이를 잘 숨기지 못하는 사람은 그 자체로 여러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객관적인 의견보다 주관적인 brunch.co.kr 감정 조절을 잘하는 사람이 되자 기획자는 다양한 사람,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자연..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이어 오늘도 웹 접근성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해요! [ 이해의 용이성 ] 3.1 가독성 3.2 예측 가능성 3.3 콘텐츠의 논리성 3.4 입력 도움 출처 입력 3.4 입력도움 1. 레이블 제공 레이블이란 사용자가 어떠한 입력 form에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의 용도 또는 역할에 대해 설명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스크린 리더는 입력form의 형태를 읽을 때 그냥 '편집창'이라고만 말합니다. 그래서 이 입력 양식이 무엇인지 용도를 설명하는 텍스트가 없다면 시각장애인은 해당 입력form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사용자 입력에는 그에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해야 합니다. 1) 과 해당의 id값을 동일 시 시켜 사용자가 폼 요소에 대한 목적을 명확하..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이어 오늘도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해 알아보아요! [ 이해의 용이성 ] 3.1 가독성 3.2 예측 가능성 3.3 콘텐츠의 논리성 3.4 입력 도움 출처 입력 3.3 콘텐츠의 논리성 1. 콘텐츠의 선형 구조 스크린 리더 등의 보조기기는 웹을 전체적으로 읽어 줄 때 소스 코드 순서대로 풀어서 접근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웹 개발자들은 논리적인 순서로 콘텐츠를 제작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1) 계층 구조가 명백히 필요한 콘텐츠(ex. 조직도)를 마크업할 때 위의 사진 처럼 조직도를 단순히 이미지로만 만들어서 넣으면 웹 접근성에 부합하는 행위입니다! 비 장애인은 사이트에 나와있는 조직도가 단순히 이미지로 제작되어 있어도 눈으로 쉽게 볼 수 있지만, 시각 장애..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오늘은 웹 접근성 지침 중 3번째 원칙, 이해의 용이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해의 용이성은 콘텐츠는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이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인데요. [ 이해의 용이성 ] 3.1 가독성 3.2 예측 가능성 3.3 콘텐츠의 논리성 3.4 입력 도움 3.1 가독성 1. 기본 언어를 표시 스크린 리더(화면 낭독 프로그램)가 자동 언어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웹 페이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를 명시해야 스크린 리더에서 선언된 언어로 전환해 읽어줍니다. 즉, 마크업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상단 html에 lang 속성을 이용해서 "ISO639-1"에서 지정한 두 글자로 된 언어 코드를 입력합니다. 기본적으로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