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CTOWN 리뷰/기술 리뷰 (8)
알씨타운

최근 미 실리콘밸리에서 ‘인간의 일을 전부 대체할 수 있는 범용 인공지능(AGI)의 시작점’으로 불리는 인공지능(AI)이 등장했습니다. ‘오토GPT(AutoGPT)’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오토GPT는 ‘시그니피컨트 그래비타스’(Significant Gravitas)라는 개발자가 오픈AI의 언어 모델 GPT-4를 기반으로 만든 오픈 소스 파이썬(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프로그램으로 지난달 30일 개발자들의 코드 공유 플랫폼인 깃허브에 올라왔습니다. 생성AI 서비스 ‘오토GPT(AutoGPT)’ 등장 AI 스타트업 시그니피컨트 그래비타스는 지난달 30일 생성AI 서비스 ‘오토GPT(AutoGPT)’를 공개했습니다. 오토GPT 공개 후 ‘#AutoGPT’란 태그는 트위터 트렌딩 1위를 차지했고, 깃..

안녕하세요 :) 알씨타운입니다. 오늘은 챗GTP나 API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API 적용할지 자세히 다뤘습니다. ChatGPT란? ChatGPT란 OpenAI가 개발한 GPT-3.5 기반의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챗봇을 뜻합니다. ChatGPT는 대화 형태로 상호작용을 하며 놀라울 정도로 인간과 대화하는 것과 같은 반응을 제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형 언어 모델 (large language model, LLM)은 일련의 단어에서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또한 ChatGPT는 인간 피드백형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w/ Human Feedback, RLHF)을 사용하는데요, 이는 사용자의 ..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오늘의 리뷰 주제는 코드이그나이터입니다. 흔히 CI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코드이그나이터를 왜 사용할까요? 코드이그나이터의 장점으로는 1. 설치 공간이 작은 프레임워크 2. 뛰어난 성능 3. 커맨드 라인(command line)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프레임워크 4. 제한적인 코딩 규칙을 준수하지 않아도 되는 프레임워크 5. 프레임워크에 대한 명확하고 철저한 문서 (한국 사용자 포럼이 존재함) 6. 간단한 인터페이스 / 논리적 구조 → 빠르게 프로젝트를 개발할 수 있음 7. 초보자가 시작하기 좋은 PHP 프레임워크 (타 프레임워크에 비해 쉽다) 8. 소스 코드만 다운로드해서 서버 루트에 압출을 풀어주면 설치가 끝난다. 9. Co..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오늘의 기술리뷰는 Core Web Vitals입니다. 다들 한 번씩 사이트를 들어가면서 접속이 느린 페이지를 종종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처음 사이트를 제작하셨는데, 속도가 너무 느려 사이트를 최적화할 게 무엇인지 잘 모르신다면,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코어 웹 바이탈(Core Web Vitals)은 웹 콘텐츠 이용자의 사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측정값을 이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웹 페이지에 접속, 이동, 클릭 같은 다양한 사용자의 행위를 측정한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글에서는 특히 3가지 LCP / FID / CLS 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LCP는 HTML 즉, 브라우저 화면에 전체가 렌더링 완료되는 시간을 말합니..

안녕하세요 :) 알씨타운입니다. 오늘은 그래픽을 렌더링 하는 Javascript API Web GL에 대해서 리뷰해보겠습니다. Web GL은 화려한 애니메이션 동작을 보고 3D 툴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좌표를 계산하고 그것을 렌더링 해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Javascript 기반의 API입니다. (좌표 계산이니까 수학이 필요하겠죠?) WebGL은 위와 같은 장점을 볼 수 있는데,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무료로 javascript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WebGL을 구현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세팅이 필요합니다. HTML 에 canvas 태그를 삽입하고 script로 canvas 안에 WebGL..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 오늘은 PWA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PWA) progresive web app는 모바일에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로 웹과 앱의 장점을 결합한 기술 입니다.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웹을 앱처럼 동시에 사용가능한 기술! 앱은 아니지만, 앱인 척 위장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PWA는 기능들을 사용이 가능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기능들을 제공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PWA를 사용한다면 개발자와 사용자는 어떻게 느낄까요? 개발자 입장 사용자 입장 PWA를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까요? (그래서 뭐를 쓰라는 거죠?)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제작 중인 사이트에 맞는 것을 사용하는게 좋다는 것입니다. 각각의 장단점을 가..

일반적인 HTTP 통신은 유저가 요청을 보낼 때만 서버가 응답하는 단방향 통신이며 서버로부터 응답받은 후 바로 연결 종료합니다. 유저가 요청을 보낼 때만 서버가 응답하는 단방향 통신이기 때문에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역으로 요청하는 건 불가능했습니다. 클라이언트만이 서버로 연락할 수 있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만 가능했던 거죠... 하지만 통신의 발달로 서버에서 반대로 클라이언트에 요청해야 할 일들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HTTP 프로토콜은 단방향이기 때문에 지속해서 HTTP 요청을 해야 합니다. 이것이 가장 초기 모델 polling이라는 기법입니다. 폴링은 데이터 통신 방법의 하나로 ..

소켓 아이오라는 이름만 들어도 소켓이 뭔지 알아야 할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을... 소켓이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두등 탁! 서버와 유저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방법으론 전통적인 방법인 HTTP 통신이 있습니다. 유저가 요청을 보낼 때만 서버가 응답하는 단방향 통신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은 후 바로 연결 종료 실시간 연결이 아니고, 필요한 경우에만 Server로 요청을 보내는 상황에 유용. 요청을 보내 Server의 응답을 기다리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주로 사용.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받고 싶다면 지속적으로 http 요청을 해야 합니다. 서버에 요청이 많아지므로 서버의 부담이 커집니다.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가지고 오고 싶다면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나온 기술이 socket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