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CTOWN 이야기 (41)
알씨타운

웹 개발을 위한 코드 작성과 달리, 문서는 모든 사람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코드를 번역해야 하는 이 작업은 꽤나 어렵습니다. 하지만 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좋은 문서를 작성한다면, 고객과 동료, 특히 개발자 자신에게도 많은 이점을 제공할 것입니다. 좋은 문서의 이점 1. ‘사용자’에게 도움이 된다 좋은 문서는 사용자가 코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수많은 개발자들은 사용자들이 능숙할 것이라고 가정해버리는 실수를 합니다. - 일반 사용자를 위한 문서를 작성할 때는 명확하게 작성합니다. -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용어보다 인간 친화적인 단어를 사용합니다. - 눈의 피로가 없도록 좋은 레이아웃 디자인을 사용합니다. (Ex. ..
디자이너가 웹 사이트에서 파악해야 할 8가지 데이터 출처(원문) https://www.whtm.space/datafordesign/ [페이지뷰(PV, Page View)] 웹 사이트 특정 페이지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횟수로 열람한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순방문자수(UV, Unique View)]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차례 방문했더라도 1회로 산정한하여 특정 기간 동안 실제로 방문한 사용자 숫자를 알 수 있습니다 [페이지뷰와 순 방문자수 증감 추세] 방문자수 증감이 큰 시점에 어떤일이 있었는지 페이지뷰와 순 방문자수 증감 추세를 동시에 확인하여 그 사이의 연관성, 추세를 분석합니다 [세션(Session)] 웹 사이트에 방문해서 이탈하기까지 사이트 내에서 페이지를 열람하거나 페이지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이벤..
출처 : https://brunch.co.kr/@lulina724/26 구글 프로덕트 매니저가 알려주는 기획서 작성 꿀팁 제품 기획 문서(PRD) 작성 및 활용법 A to Z 정리 | 우리 PM들은 예로부터(?) 기획서라는 이름 하에 수많은 형태의 문서들을 작성해왔습니다. 기능 요구정의서, 명세서, UX 설계 문서 등등.. 이름도 다양하고 형태도 다양하죠. PPT나 디자인 툴로 와이어프레임을 직접 그리기도 하고 에러 케이스부터 시작해서 세부 개발 요구사항들까지 꼼꼼히 기록하기도 하고요. PM들이 과연 얼마나 상세하고 많은 분량의 기획을 brunch.co.kr PRD에는 무엇을 작성해야 하나요? 1. 요약과 배경 문제가 무엇이고 이것이 왜 중요한지 기술합니다 2. 주요사용자 누구를 위한 해결책인지, 유저의..
이런 기획자는 되고 싶지 않은 마음 우리는, 어떤 기획자가 되어야 할까? 출처 https://brunch.co.kr/@zagmaster/100 이런 기획자는, 되고 싶지 않음 마음 우리는, 어떤 기획자가 되어야 할까? | 감정 조절을 잘하는 사람이 되자 자기감정을 잘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기획자는 다양한 사람,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자연스레 여러 상황에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위치다. 의견에 감정이 상하거나, 이를 잘 숨기지 못하는 사람은 그 자체로 여러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객관적인 의견보다 주관적인 brunch.co.kr 감정 조절을 잘하는 사람이 되자 기획자는 다양한 사람,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자연..

본문은 위시켓과 번역가 윌리(Willy)가 함께 만든 해외 콘텐츠 기반 번역문입니다. 기획과 UX 디자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블로그 매체 ‘부트캠프(Bootcamp)’의 글을 번역했습니다. 필진은 디자인 랩(Designlab)으로 UX, UI 디자이너들을 지원하는 회사입니다. 본문은 UX 디자이너에게 도움을 주는 12가지 업무 스킬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참고하여 실제 활용해보셔도 좋겠습니다. 지난 10년간 UX 디자이너의 역할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오늘날 UX 디자이너가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업무는 아이폰이 처음 출시됐던 2009년 이전과는 사뭇 다릅니다. 또한, "UX 디자이너"라는 직책으로 사람을 뽑더라도 회사마다 요구하는 업무와 역할이 판이합니다. 그렇다면 이렇듯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는 UX ..

원문: https://techbeacon.com/app-dev-testing/35-programming-habits-make-your-code-smell 당신의 코드를 구리게 만드는 35가지 "나쁜 버릇" 나쁜 버릇은 고치기 힘들다. 그게 나쁜 버릇임을 알지 못하면 더욱 고치기 힘들다. 나쁜 버릇임을 알면서도 고치지 않는 것이 최악이다. 하지만 적어도 고칠 마음은 있으니 이걸 읽고 있을 것이다. 프로그래머로 일하면서 나쁜 습관들을 봐왔다. 코딩 문제도 있었지만 팀워크 문제도 있었다. 나 또한 나쁜 습관이 있었고 이에 대한 책임이 있다. 나쁜 프로그래밍 습관 35가지를 아래와 같이 4개의 카테고리로 – 코드 관리, 팀워크, 코드 작성, 테스트 및 유지관리 - 나누어 보았다. [코드 관리] 1. “나중에 고..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오늘은 개발자가 알아야 할 개인정보 보호조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요. 개인정보보호법을 따르는 사업장의 경우 1년에 1회 이상, 정보통신망법을 따르는 사업장의 경우 1년에 2회 이상 개인정보보호 교육을 필수로 진행해야 합니다. 개인정보 처리자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요구사항을 개인정보처리시스템 기획 단계부터 파악하고, 구축단계에서 그 기능을 구현할 필요가 있는데요. 개발자가 알아야 할 개인정보 보호법! 같이 알아볼까요? https://www.privacy.go.kr/edu/ttb/selectBoardList.do 교육자료>자료마당>개인정보보호포털 번호 분류 제목 게시일 조회수 첨부파일 35 세미나(컨퍼런스) 2021년 공공분야 가명정보 제공 실무안내 온라인 설명회(6.18)..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이어 오늘도 웹 접근성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해요! [ 이해의 용이성 ] 3.1 가독성 3.2 예측 가능성 3.3 콘텐츠의 논리성 3.4 입력 도움 출처 입력 3.4 입력도움 1. 레이블 제공 레이블이란 사용자가 어떠한 입력 form에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의 용도 또는 역할에 대해 설명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스크린 리더는 입력form의 형태를 읽을 때 그냥 '편집창'이라고만 말합니다. 그래서 이 입력 양식이 무엇인지 용도를 설명하는 텍스트가 없다면 시각장애인은 해당 입력form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사용자 입력에는 그에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해야 합니다. 1) 과 해당의 id값을 동일 시 시켜 사용자가 폼 요소에 대한 목적을 명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