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씨타운
[웹 접근성 가이드] 웹 접근성에 따른 장애 유형 본문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웹 접근성은
웹을 이용하는데 있어 장애에 구애 없이, 차별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마다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
그래서 오늘은 어떠한 장애 유형이 있으며,
각 장애 환경에 따라 어떻게 웹에서 정보를 인식하는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 장애 유형 ]
1 전맹 시각 장애
시각을 통해 화면을 보는 것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어려습니다.
그래서 이분들은 주로 청각이나 촉각을 활용해 웹을 이용합니다.
청각적으로는
화면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화면 낭독 프로그램(스크린 리더)을 이용해
웹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촉각적으로는
점자 정보 단말기를 통해 점자를 손으로 읽으면서 웹 페이지의 내용을 인식합니다.
2 저시력 시각 장애
보통 우리는 시각장애인이라고 하면 모두 눈이 아예 안보인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시력 시각 장애인과 전맹 시각 장애인은 장애 정도가 차이납니다.
저시력 시각 장애는 크게 시력 저하 / 시야 장애 / 색약,색맹 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시력 저하인 분들은 주로 렌즈, 수술 등으로 시력 교정이 어려운 사람들로
화면이 보이지만 흐릿하게 보이기 때문에 내용을 빠르게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시야 장애인 분들은 남들보다 볼 수 있는 부분의 범위가 좁아
웹 페이지의 일부만 볼 수 있습니다.
색약,색맹은 색상 구분이 어려운 사람들입니다.
웹 페이지 특성상 많은 색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분들을 위해
웹 제작시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고대비를 사용해야 하며,
정보 제공시 내용과 폰트를 크고 선명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3 중증 운동 장애
중증 운동 장애는 오로지 목만 움직일 수 있는 장애 유형입니다.
손과 팔을 움직일 수 없어 마우스 이용이 어렵기 때문에
키보드만으로도 모든 정보의 접근 및 조작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 때 키보드를 조작하기 위해서 보조기기를 사용하는데요.
사용되는 보조기기로는 헤드 포인터, 빅키 키보드, 키가드가 있습니다!
인천광역시 보조기기 센터 : 키가드
4 손 운동 장애
한 손만 사용이 가능하나 마우스, 키보드의 정교한 조작이 어려운 장애 유형입니다.
사용되는 보조기기는 한 손 사용자용 키보드와
큰 볼을 굴려 마우스 포인터를 쉽게 이동이 가능한 트랙볼 마우스입니다.
로지텍 트랙볼 마우스
5 청각 장애
동영상, 오디오, 알람 등 청각 콘텐츠는 인식할 수 없는 장애 유형입니다.
그래서 콘텐츠를 웹에 올릴 때 반드시 수화, 자막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그 외
맥 사용자
웹이 윈도우 환경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경우,
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웹 접근이 힘듭니다.
웹을 제작할 때 있어 크로스 브라우징이 되어야 합니다!
지금까지 대표적인 웹을 이용할 때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는 장애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다고 지나치지 말고
최대한 모든 사람이 불편함 없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때 많은 고민을 하길 바랍니다!
'RCTOWN 이야기 > 프로 기획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접근성 가이드] 1.인식의 용이성 : 미디어 대체 수단 및 명료성 (0) | 2021.11.12 |
---|---|
[웹 접근성 가이드] 1.인식의 용이성 : 대체 텍스트 제공 (0) | 2021.11.10 |
[웹 접근성 가이드] 웹 접근성에 따른 장애 유형 (0) | 2021.11.08 |
[웹 접근성 가이드] 웹 접근성 심사 절차 및 비용 (0) | 2021.11.05 |
[웹 접근성 가이드] 웹 접근성이란? (0) | 202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