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씨타운

[웹 접근성 가이드] 2. 운용의 용이성 : 충분한 시간 제공/ 광과민성 발작예방 본문

RCTOWN 이야기/프로 기획자 이야기

[웹 접근성 가이드] 2. 운용의 용이성 : 충분한 시간 제공/ 광과민성 발작예방

(주)소프트랩스 2021. 11. 20. 10:37

 

안녕하세요! 알씨타운입니다!😄

웹 접근성 지침 두번째 운용의 용이성에 대해 이어서 공부하도록 해요!

 

[ 운용의 용이성 ]

2.1 입력장치 접근성

2.2 충분한 시간 제공

2.3 광과민성 발작 예방

2.4 쉬운 네비게이션

 


 

2.2 충분한 시간 제공

1. 응답 시간 조절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사용자가 시간 제한 콘텐츠를 인식하기 수월합니다.

 

사실 웹을 제작할 때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ex. 로딩페이지)는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은행사이트처럼 보안 문제로 시간제한이 필요한 경우에는

어떻게 응답 시간을 알려주는 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은행 사이트의 경우 보안 문제로 인해 시간 제한에 대한 안내가 필요합니다.

어떠한 안내사항을 제공하지 않고 자동으로 로그 아웃이 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위의 사진 처럼 자동 로그아웃을 단순히 안내만 제공하는 경우에도

웹 접근성을 위반한 사례입니다.

 

반드시 '연장하기' 버튼 등을 구현해

사용자가 회피할 수 있도록 수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반응시간 조절은 최소 20초 이상의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 외 페이지로 이동할때 일정 시간이 지난 뒤 페이지가 자동 전환 되는 경우에도

반드시 페이지이동을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하며,

휴대폰 인증해야할 때 시간 제한이 있는 경우

인증 요청 제한 시간을 올바르게 표시해주어야 합니다!

 


2. 정지 기능 제공

자동으로 변경 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저시력 장애인 또는 지적 장애인은 콘텐츠가 빠르게 자동적으로 변화하게 되면

웹 콘텐츠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비 장애인들 역시 자동으로 변화하는 콘텐츠를 볼 때

정지 또는 이전/다음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이 없으면

다른 콘텐츠를 보고 싶을 때 원하는 콘텐츠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를 막기 위해

자동 슬라이드 되는 배너나 자동 변경되는 컨텐츠등의 경우

정지/재생/이전/다음 관련된 조작 가능한 버튼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자동으로 슬라이드 되는 콘텐츠는 반드시

재생/정지/이전/다음 버튼을 제공해

사용자가 웹에세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우스 오버 시 정지될 수 있게 해야하고

또 키보드로 접근했을 때도 정지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2.3 광과민성 발작 예방방

1.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말아야 합니다.

되도록 깜빡임/번쩍임의 시간을 3초 미만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광과민성 증후군 환자, 학습장애인, 저시력 장애인 등에게

지속적으로 깜빡임이 노출된 콘텐츠를 보게 되면 발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웹 제작시 반드시 유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에서 영상 형태의 광고로 들어가는 배너의 경우가

이 지침에 해당됩니다.

 

 

그럼 콘텐츠가 초당 깜빡이는 횟수가 얼마나 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Photosensitive Epilepsy Analysis Tool (PEAT) - Trace Research & Development Center

The Trace Center’s Photosensitive Epilepsy Analysis Tool (PEAT) is a free, downloadable resource for developers to identify seizure risks in their web content and software. The evaluation used by PEAT is based on an analysis engine developed specifically for web and computer applications. PEAT can h...

trace.umd.edu

위의 'PEAT' 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 콘텐츠 깜빡임을 검사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 내용은 어떠셨나요?

움직이는 콘텐츠의 깜빡임이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는데요.

이렇게 웹 접근성을 준수하려면 세심한 노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도 이어서 운용의 용이성 중 마지막 지침 내역

'쉬운 내비게이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Comments